본문 바로가기

방글라데시 뉴스모음/방글라데시 뉴스

잦은 政變‧사회불안…해외노동자 송금이 국가경제 '버팀목'

국민 75% 하루 2만달러 미만 수입 극심한 빈부격차

차세대 성장국가 'Next-11' 선정된 개발도상국

올해 7.4% 경제성장률 목표 불구 6%대에 머물러

 

[그린경제=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방글라데시는 영토자체는 비옥하며 과일도 풍부해 18~19세기 쌀, , 면화, 사탕수수, 황마 등의 농업 부문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영국, 인도, 파키스탄의 속령 국가였다가 1971년 독립했다. 1972년 헌법에 의해 민주주의 국가가 건국됐지만 이 후 약 30년간 정치권 암살 2건과 쿠데타 등 정치적인 혼란과 부정부패로 국가발전은 요원한 일이었다.

끊임없는 정쟁과 군부정치로 인해 국가불안사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빈부격차, 사회적 불평등 등으로 인해 사회는 불안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05년 미국의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차세대 성장국가 11개국을 의미하는 Next-11에 방글라데시를 포함했는데 당시 연평균 6~7% 성장률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2011년 유럽연합(EU) 기준으로는 개발도상국이지만 여전히 빈곤국가라는 인식이 강하며 경제적 도약을 위해 정치안정이 선결과제다.

 

 

                     ▲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일어난 이슬람 시위. 정치 불안과 사회 불평등의 방글라데시의 발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방글라데시는 전체 인구 중 6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며 세계 쌀 생산국 중 5위권 내에 진입해 있는 국가다.

면적대비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쌀 생산국인 동시에 수입국이기도 하다.

녹색 혁명이라고 불리는 농업부문의 현대화로 설비투자의 증대를 강제했지만 두드러진 효과를 보지 못했다.

정치적 불안의 영향으로 경제권마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인구의 70% 이상이 농촌지역에 거주하기 때문에 주요 도시와 관련된 문화적경제적 혜택을 받지 못해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방글라데시의 경제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무역수지, 예산 및 공공부채, 노동력 및 실업률, 주요 제품 및 물가상승률 등을 살펴보자.

 

 

 

 

농업섬유 육성사회불평등 해결해야 지속성장 가능

황마 주력상품 농업식품 세계 최대 수출국 목표

봉제산업 열악한 기반시설 불구하고 세계 3위 기록

현재 방글라데시의 주요 경제 현안이슈를 보면 정치 불안에 따른 경제성장 제한, 해외근로자들의 해외에서 불평등한 대우, 여성근로자들에 대한 자국 내 불평등한 대우, 정확히 집계되지 않은 빈곤층과 그 이하의 삶을 사는 국민들, 정부투자의 미흡으로 여전히 취약한 국민경제, 농업 부문에만 크게 의존하는 수출경제 등이다.

이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유치, 봉제 산업과 같은 민간부문의 성장, 고급인력들의 해외근로 후 송금 증가 등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는 상황이지만 큰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경제적 현안 이슈에 따라 방글라데시 정부는 농업과 섬유를 2대 주요산업으로 정해 투자를 늘리고 있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