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화 급진전, 핵가족화가 외식 문화 확산 촉진 –
– 식자재 공급 및 관리가 최대 난제 –
소득 증가 등에 따른 외식 수요 확대
방글라데시는 1억7000만 명의 인구를 갖고 있으며 2013년 기준 1인당 GDP가 1000달러를 돌파
방글라데시 소득 지표 추이
(단위: %, 달러, 백만 명)
지표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GDP 성장률 |
6.5 |
6.3 |
6.1 |
6.2 |
6.4 |
1인당 GDP |
858 |
916 |
1,033 |
1,179 |
1,309 |
인구 |
153 |
155 |
157 |
158 |
160 |
자료원: IMF 2014년 9월
도시화 급진전, 핵가족화가 외식문화 확산 촉진
– 스리랑카는 최근 외국인 관광객 급증이 관련 수요 확대에 일조
현지 프랜차이즈 확산 동향
현지 기업은 해외 프랜차이즈 수입으로 새로운 문화에 발빠르게 대응
Pizza Hut, KFC, Pizza Inn, 난도스 등이 2000년대 말부터 진출을 시작
최근 글로리아진스(호주, 커피), Fish & Co(싱가포르, 해산물), 크리스피크림(미국, 도넛), SBARRO(미국, 피자) 등 신규 프랜차이즈 확대
※ 참고: 서남아 타 국가 프랜차이즈 확산 동향(스리랑카)
자료원: IMF 2014년 9월 |
한국 프랜차이즈 기업의 진출 동향
한국 프랜차이즈로는 제네시스 BBQ가 라이선스 판매 형태로 2013년부터 진출
동남아에 이은 새로운 시장 발굴의 일환으로 서남아 지역에 주목, 요식업을 중심으로 활발한 사업 진행 중
방글라데시 BBQ 모습
한국 기업의 진출 방안
현지 프랜차이즈 진출 여건(요식업 중심)은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음.
유리한 여건 | 불리한 여건 |
– 외식 수요 증가 – 강한 양념 등 한국 식습관과의 유사성 – 경쟁 해외 프랜차이즈 진출 초기단계 – 안전한 식품에 대한 인식 제고 – 저렴한 인건비 |
– 높은 토지 가격 및 임대료 – 냉장냉동 물류시스템(Cold Chain)의 결여로 식자재 품질 관리가 어려움. – 식품류에 대한 고관세 – 한류 영향 미미 |
진출형태
– 요식업 운영 및 식자재 수입, 관리에 따르는 어려움을 감안할 때 현지 단독 투자는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당분간은 라이선스 판매 및 자재 공급 형태가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판단됨.
입지
–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굴샨-바나니 지역 또는 현지인들의 도심인 단몬디 지역이 프랜차이즈 입지로 가장 유력
타깃 고객
– 외국 프랜차이즈 매장은 단순히 식사를 하는 것 외에 여가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음식과 서비스, 시설이 우수한 매장에서 높은 비용을 치를 용의가 있는 고객층이 두터움.
– 따라서 최근 진출한 프랜차이즈들은 매장의 분위기 자체를 고급 레스토랑에 가깝게 조성하고, 테이블까지 서비스를 직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식자재 수입 및 관리
– 냉장물류 시스템 결여, 통관 절차 지연, 고온 다습한 기후는 해외로부터 변질 가능성이 있는 식자재를 공급하는데 커다란 제약이 되고 있음.
– 따라서 현 단계에서 진출하는 프랜차이즈는 식자재 현지 조달이 가능한 품목(치킨 등)이나 카페와 같이 식자재 관리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은 품목이 바람직함.
요식업 외 유망 프랜차이즈
–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서구식 미에 대한 인식 상승 등으로 인해 화장품 프랜차이즈 진출이 유망
– 동남아와 달리 이슬람 국가인 방글라데시는 한류의 영향이 퍼져 있지 않으므로 안테나 숍 등의 설치 및 현지 프로모션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함.
다카 글로리아진스 카페(Gloria Jean's Cafe Bangladesh)
자료원: 현지 관련업계 인터뷰, KOTRA 다카 무역관 자료 종합
'방글라데시 뉴스모음 > 방글라데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글라데시투자협, 로컬 중고등학교에 과학기자재 기증 (0) | 2015.07.02 |
---|---|
청년실업 개도국에 답이 있다. "기회의 땅 방글라데시에 도전하세요" (0) | 2015.07.02 |
방글라데시 교육부 양주 상수초교 방문, 교육활동 참관 (0) | 2015.06.12 |
인도·방글라데시, 40여년 국경분쟁 종식 (0) | 2015.06.12 |
삼삼성 타이젠 스마트폰 Z1, 방글라데시 시장서 통했다 (0) | 2015.05.26 |